에어컨은 설치가 매우 중요한 제품입니다. 설치기준은 별도의 설치설명서가 제공됩니다. 먼저 설치장소를 선정해야 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를 반영하되 배수나 소움 등 고려해야 하며 실외기는 원활한 통풍이 되는 장소가 적합한데 부득이 바람막이를 설치할 경우 열방출이 잘 되도록 설치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벽뚫기 작업을 합니다. 타공, 천공이라고도 하며 벽면 속에 전선이나 철근 등 매립된 구조물은 없는지 확인을 합니다. 다음 실내외기를 고정하는 작업을 합니다. 벽걸이는 행거플레이트라는 철판을 먼저 벽면에 고정한 후 실내기를 걸어줍니다. 실외기는 앵글등을 이용하여 외벽을 설치할 때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인 경우에는 관리 주체의 동의가 필요하며 떨림에 의한 소음발생 및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로 낙하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해 설치를 해야 합니다. 그 다음은 배관 연결작업입니다. 실내기 및 실외기 배관연결부와 설치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배관 연결부분을 확관, 가공하여 연결하는 후레어 체결방식이며 또 하나는 스마트링크라는 배관연결자재를 이용한 체결방식이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제품에 따라 정해져있다는 것입니다. 매립배관은 꼭 배관 내부세척을 실시하는 것이 기준입니다. 이는 내부의 수분 먼지 등으로 이물질이 있을 경우 사이클을 막을 수 있어서 고장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제품 구매 시 매립배관, 일반배관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는 설치장소가 매립배관인가? 아닌가?로 판단하면 됩니다. 즉 배관이 선 매립된 장소는 매립배관을 선택하는 것이며 그렇지 않은 장소는 일반배관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참고로 두 배관은 제공되는 배관의 재질 그리고 그에 따른 기본제공길이가 달라집니다. 다음은 배수호스를 연결합니다. 스탠드와 벽걸이의 배수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자연배수방식입니다. 즉 물을 뿜어내는 압력이 없기 때문에 배수호수의 막힘, 꺾임 등이 없어야 합니다. 그러나 설치환경으로 인해 배수펌프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전원플러그를 꽂지 않아서 실내기에서 누수가 되는 사례도 많이 있습니다. 참고로 배수펌프가 이상이 있는 경우 에어컨 제조사에서는 AS를 하지 않습니다. 그 다음은 전선작업을 합니다. 참고로 차단기 용량, 전선, 굵기 등 설치 스펙에 대한 궁금증도 많이 있습니다. 모델 확인 후 자료에 근거하여 확인하시면 됩니다. 제품종류, 평형에 따라 실내전원, 개별전원 등 전원연결방식이 다르며 가정용 제품은 세트제품 구매시 포함된 배관 박스에 전선이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참고로 상업용은 평형이 작아도 전원플러그가 없고 차단기로 연결됩니다. 가정용 스탠드나 홈멀티에어컨을 설치한 경우 실외기 전원선 굵기가 2.5스퀘어로 일반적인 가정제품의 전선굵기인 1.5스퀘어보다 굵은 선입니다. 콘센트에 꽂을 곳이 없어서 부득이 멀티콘센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멀티탭이나 문어발 콘센트는 사용금지입니다. 그러나 부득이 사용을 해야한다면 안전이 제일 중요한 것이므로 전선 굵기가 2.5스퀘어의 멀티케이블이나 시중에 판매되는 에어컨 전용멀티탭이라는걸 쓰는 경우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진공작업 및 누설검사를 합니다. 배관연결 후 진공 즉 공기빼기를 하지 않으면 내부의 불응축가스로 인해 냉방불 또는 콤프의 소손이 발생되므로 반드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실시해야 합니다. 참고로 진공이 잡히지 않았다는 것은 공기가 들어오는 것이 있다는 것이므로 설치완료시 냉매누설이 발생되므로 설치부위를 조치한 후 진공을 실시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냉매보충 및 시운전을 합니다. 기본 배관길이 내에서 설치가 되면 냉매보충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 추가 배관이 연결된 경우에는 미터 당 정해진 추가 냉매량을 보충해야 하는데 냉매 충전 모드로 진입 후 전자저울을 이용해서 압력테이블을 참고하여 충전을 합니다. 시운전은 12년 이후 적용된 스마트 인스톨을 실시합니다. 초기 설치 후 제품을 켜면 동작이 안되고 표시부가 있는 제품은 '88'표시가 점멸되고 램프타입의 벽걸이는 교대로 점멸을 합니다. 상업용은 '2508'이라는 에러가 표시되면서 제품이 동작되지 않습니다. 바로 이 스마트인스톨을 시키지 않아서 그런 것으로 정해진 버튼을 눌러 진입하면 약 7~15분간 스스로 진단을 실시하여 이상이 있으면 에러를 표시하고 이상이 없다면 동작을 시킬 수 있습니다.
'에어컨에 대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 찬바람이 약한경우와 누수,소음 및 설치철거, 이전설치 (0) | 2020.07.01 |
---|---|
에어컨 - 에러코드의 역사 (0) | 2020.06.28 |
에어컨 - 시스템에어컨의 리모콘 (0) | 2020.06.28 |
에어컨 - 시스템에어컨의 종류 (1) | 2020.06.28 |
에어컨 - 에어컨의 기능 (0) | 2020.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