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에 대한 상식15 에어컨 - 실내기 누수증상 해결방법 에어컨을 가동시 바람이 나오는 입구에서 물이 떨어질 때 해결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경우는 보통 배수관이 막힌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에어컨에서 발생한 물이 제품 내 물받이로 모이게 되면 이 물은 배수호스를 통해 자연배수식으로 배출이 되어야 되는데 배수호스꺾임, 배수호스 끝이 물에 잠겨있거나 막혀있을 경우에는 자연배수가 되지 못하여 역류현상이 발생되게 되어 에어컨 바람이 나오는 입구에서 물이 뚝뚝 떨어지게 됩니다. 그럼 지금부터 이 역류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배수호스는 사진과 같이 옆으로 빠져 있습니다. 끝을 따라가다 보면 외부에 이렇게 노출 되어 있는데 호스가 더러우니 손으로 감싸주고 불 수 있는 구멍을 만든 뒤에 최선을 다해서 힘껏 4~5번 불어주면 됩니다. 그러면 호스에 .. 2022. 7. 16. 에어컨 - 인버터형과 정속형의 차이와 에어컨 전기료 절감방법 에어컨은 인버터형과 정속형 두가지 형으로 나뉘게 됩니다. 인버터형은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절전하여 전기료가 절감되기 때문에 인버터형은 절전이 가능해서 계속 켜두는게 오히려 전기료가 절약이 됩니다. 반면 정속형 같은 경우 설계 자체가 항상 최대 출력으로 가동되기 때문에 중간 중간 꺼두어야 전기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그럼 인버터형과 정속형은 어떻게 구분할까요? 대부분 인터넷에 보면 정속형과 인버터형은 쓰는 냉매가 다르다며 이걸로 구분하거나 생산년도가 2011년 이후면 인버터, 이전이면 정속형으로 구분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냉매 종류는 제조사마다 다르고 2011년 이후라도 인버터형 도입시기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쓰는 냉매나 생산년도로 구분하기에는 둘 다 100% 정확하지 않습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 2022. 7. 16. 에어컨 청소와 관리방법 먼저 청소를 할 때는 안전을 위해 전원을 차단해주셔야 합니다. 외관 청소는 긁히지 않도록 마른 헝겊이나 극세사천을 이용합니다. 만약 외관의 먼지, 기름때 등 잘 지워지지 않을 때는 유리세정제와 같은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성 액성의 세정제를 15~20cm 거리에서 3~4회정도 분사를 하고 깨끗한 마른 수건으로 표면을 닦아줍니다. 마른행주(헝겊)와 극세사천 무풍에어컨 패널을 청소 할 경우에는 송풍으로 5분정도 건조를 시켜줍니다. 알코올, 아세톤등 휘발성 성분으로 닦아내면 변색의 우려가 있으니 안되겠죠? 다음은 필터관리방법입니다. 먼저 먼지거름필터는 모든 에어컨에 적용되어있으며 큰 먼지를 걸러줍니다. 최소 2주에 1회 진공청소기로 흡입하거나 물청소도 가능합니다. 필터에 먼지가 많으면 더운 열이 흡입이 안되서 냉.. 2020. 7. 23. 공기청정기의 기능과 필터, 제습기 공기청정기는 분진을 포집하는 장치로 일정 공간에 필터를 놓고 공기를 계속 순환을 시켜서 각종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것입니다. 삼성 제품은 현재 전면흡입 상부토출구조인 블루스카이와 후면흡입 전면토출 구조의 큐브 제품이 있습니다. 큐브는 2018년 최초 출시된 제품으로 직바람이 아닌 무풍 패널이 적용되어있고 사용면접에 따라 대, 중, 소형 제품이 있습니다. 큐브는 적재 즉 소형과 소형 또 중형과 소형의 2단적재가 가능하여 넓은 면적에서 사용하다가 다시 분리를 해서 각각의 정해진 면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청정효율이 좋아서 인기가 많은 제품입니다. 블루스카이는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대형인 9000시리즈에서 아이방 등 작은 공간에서 사용하는 3000시리즈까지 청정면적별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중 블루스카이 6.. 2020. 7. 17.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