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어컨에 대한 상식15

에어컨 - 찬바람이 약한경우와 누수,소음 및 설치철거, 이전설치 여름철에 가장 많은 증상인 찬바람이 안 나오는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찬바람이 안나오는 증상은 바람이 전혀 안나오는건지? 바람이 나오다가 차갑지 않은지?를 구분해야 합니다. 바람이 나오지 않는 증상에는 어떤 경우가 있을까요? 작동 중 에러가 발생되었거나 전원이 들어오지 않을 때 입니다. 그럼 에러인지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 건지 구분하는 방법은 실내기 디스플레이에 에러가 표시되고 있는지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 증상은 보통 리모콘을 이용하여 작동을 많이 하기 때문에 본체에 전원이 켜지는지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본체에서 전원이 켜진다면 리모콘 작동이 안되는 증상으로 봐야합니다. 바람이 나오는데 차갑지 않다거나 실내온도가 원활한 수준까지 차가워지지 않으면 차갑지 않다고 표현을 합니다... 2020. 7. 1.
에어컨 - 에러코드의 역사 에러모드란 제품 내 자가진단기능에 의해 부품이 정상 작동이 되는지 체크하여 비정상적인 작동이 감지 될 경우 표시부에 알려주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에러는 디스플레이에 숫자로 표현하는 방식과 아이콘 점멸방식 두가지가 있습니다. 숫자로 에러를 표현하는 방식은 제품 출시년도에 따라 표현방법이 달라집니다. 초기 제품은 숫자 한자리로 에러를 표현했습니다. 이후 제품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에러 또한 종류가 많아졌으며 숫자 한자리로 표현이 어려워 세자리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2015년 이후에는 에러의 약자인 E를 CHECK의 약자인 C로 표현을 하였습니다. 디스플레이에 숫자 3자리를 모두 표현하지 못하는 제품은 2자리씩 교차하면서 표현이 됩니다. 예를 들어 실내외기 통신에러인 E101 에러를 표현한다면 E1, 01을 교차.. 2020. 6. 28.
에어컨 - 에어컨의 설치과정 에어컨은 설치가 매우 중요한 제품입니다. 설치기준은 별도의 설치설명서가 제공됩니다. 먼저 설치장소를 선정해야 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를 반영하되 배수나 소움 등 고려해야 하며 실외기는 원활한 통풍이 되는 장소가 적합한데 부득이 바람막이를 설치할 경우 열방출이 잘 되도록 설치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벽뚫기 작업을 합니다. 타공, 천공이라고도 하며 벽면 속에 전선이나 철근 등 매립된 구조물은 없는지 확인을 합니다. 다음 실내외기를 고정하는 작업을 합니다. 벽걸이는 행거플레이트라는 철판을 먼저 벽면에 고정한 후 실내기를 걸어줍니다. 실외기는 앵글등을 이용하여 외벽을 설치할 때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인 경우에는 관리 주체의 동의가 필요하며 떨림에 의한 소음발생 및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로 낙하되지 않도록 단단.. 2020. 6. 28.
에어컨 - 시스템에어컨의 리모콘 시스템에어컨에는 무선리모콘과 유선리모콘이 있습니다. 무선리모콘을 사용하는 분들이 리모콘으로 제품을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리모콘 실내기 번호를 확인해야 합니다. 실내기 번호는 여러대의 에어컨을 같은 공간에서 사용할 때 리모콘 한 대로 실내기를 각각 개별제어를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실내기 번호를 변경하지 않았다면 공장 출하시 실내기 번호는 1번으로 설정되어있으며 만약 번호가 1번이 아닌 다른 번호로 설정되어 있다면 1번으로 변경 후 작동을 시켜줘야 합니다. 유선 리모콘 무선 리모콘 실내기 번호는 리모콘 액정에 항상 표시되므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필터 리셋 기능입니다. 천장형 제품은 실내기 가동시간 1000시간 또는 설정에 .. 2020.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