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을 가동시 바람이 나오는 입구에서 물이 떨어질 때 해결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경우는 보통 배수관이 막힌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에어컨에서 발생한 물이 제품 내 물받이로 모이게 되면 이 물은 배수호스를 통해 자연배수식으로 배출이 되어야 되는데 배수호스꺾임, 배수호스 끝이 물에 잠겨있거나 막혀있을 경우에는 자연배수가 되지 못하여 역류현상이 발생되게 되어 에어컨 바람이 나오는 입구에서 물이 뚝뚝 떨어지게 됩니다.
그럼 지금부터 이 역류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배수호스는 사진과 같이 옆으로 빠져 있습니다.
끝을 따라가다 보면 외부에 이렇게 노출 되어 있는데 호스가 더러우니 손으로 감싸주고 불 수 있는 구멍을 만든 뒤에 최선을 다해서 힘껏 4~5번 불어주면 됩니다.
그러면 호스에 막힌 부분이 뚫리면서 실내기에서 누수가 되지 않습니다. 에어컨 실내기 물 떨어지는 것은 이렇게 해서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에어컨 실내기에 누수 증상이 있는 분들은 이 방법으로 해결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에어컨에 대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 인버터형과 정속형의 차이와 에어컨 전기료 절감방법 (0) | 2022.07.16 |
---|---|
에어컨 청소와 관리방법 (0) | 2020.07.23 |
공기청정기의 기능과 필터, 제습기 (0) | 2020.07.17 |
에어컨 - 찬바람이 약한경우와 누수,소음 및 설치철거, 이전설치 (0) | 2020.07.01 |
에어컨 - 에러코드의 역사 (0) | 2020.06.28 |
댓글